정조가 더 오래 살았더라면? 비리 투성인 권세가를 없앴더라면!

핫이슈|2018. 10. 4. 09:59
728x90



왕이 있는 정치를 유지하면서도 오히려 안정적인 나라들이 있습니다. 대표적인 곳이 영국을 포함한 유럽 나라들입니다.

하지만 왕을 무너뜨리고 대통령제를 만든 나라는 프랑스입니다. 프랑스는 스스로 왕이 없는 나라를 만들었지만, 한국은 식민지 이 후, 독립을 하는 과정에서 대통령제를 받아들이게 되었습니다.

한국은 오히려 왕이 있는 것이 낫지 않았을까 싶을 정도로 중심이 너무 없어서 문제입니다. 1% 부자들이 노블레스 오블리주 같은 마인드와 든든한 애국심으로 한국을 지탱해주면 좋겠지만 이 마저도 보이지 않습니다.

정조 이야기를 함에 있어 이 이야기를 먼저 하는 이유는 시대를 진단할 때, 역사를 되돌아 볼 때, 비리와 부패를 막을 시스템이 없는 정치는 언젠가는 망한다는 것을 지젓하기 위해서입니다.

프랑스의 경우, 왕이 절대 권력을 유지했을 뿐만 아니라, 자신들의 안위와 안락함을 위해 온갖 세금을 사용했습니다. 마리 앙투아네트는 너무 유명한 실제 인물이었고 결국 파리 시민들에게 처형당했습니다.

조선의 경우도 비슷했지만 그 주체가 달랐습니다. 왕은 그저 허수아비였고, 극도의 권세가에 의해 나라 권력이 왔다 갔다 했습니다. 심지어 세도정치라는 전례없는 이상한 형태가 등장했습니다.



조선의 경우, 프랑스와 같이 왕과 왕비의 비리 부패 등 과도한 권력으로 그들을 공개처형한 것이 아니었습니다. 국민들은 왕이 그런 처참한 상황에 처한 것도 분개하지 않았고(그 당시 보통사람들), 왕을 능멸하는 권세가를 바로 잡지도 않았습니다. 현재의 중국인들과 같이 매우 수동적으로 일관했던 것입니다.

그러면 왜 조선의 왕은 이렇게 된 것이었을까요? 유교의 사상이 강했던 조선에서는 왕은 신성한 것이었습니다. 하지만 왕이 가족이 되는 순간 그 왕은 아들이었고, 어린 조카일 뿐이었습니다. 이런 유교 사회에서 이런 관계를 칼로 자르듯이 분별할 확실한 왕가 시스템이 없었습니다.

그랬기 때문에 결혼과 동시에 왕비의 친척을 권력에 앉히는 일도 조선의 왕이 온전치 못했던 전통이 되어 왕을 죽이는 부메랑이 되었습니다.

유럽의 경우는 왕족이 왕과 함께 강력한 정치 구도를 만들면서 서로 협력한 반면, 조선의 경우는 모든 경쟁 관계를 죽여버리는 일을 반복했습니다. 그러니 왕이 세도가에게 독살을 당하거나 바뀌는 일들이 일어났던 것입니다.



그래서 ‘정조가 더 오래 살았더라면’이라고 말하는 것은 1차원적인 저질 해석일 뿐입니다. 정조가 비리투성인 권세가를 경계할 세력을 만들던가 죽여서 없애던가 후대를 많이 양성하여 유럽처럼 강혁한 왕권을 만들거나... 자신이 추진했던 좋은 제도들이 계속 유지될 수 있도록 미래를 대비했어야 했습니다.

첫번째로는 왕자가 장성하도록 건강을 살피는 것도 중요했지만, 자신이 죽더라도 아내를 중심으로 잘 이어지게 하는 것도 능력입니다. (단, 외척 세력의 과도한 개입은 절제!!)

전세계는 빌딩을 짓고, 기차를 놓고, 배를 타고 식민지를 만들던 시기에 봉창 두드리는 짓을 한 세도정치의 권세가들을 만든 것 또한 남탓이 아니라 조선 왕들의 책임입니다. 그들을 처단할 기회는 영조, 정조 시대에 매우 충분했습니다.

이 두 왕이 후대를 잘 잇는 것의 중요성을 제대로 파악하지 못했기 때문에! 그리고 그런 세력을 막지 못했기 때문에 끌려다니다가 결국 세도정치까지 가게 된 것입니다.



이런 비이상적인 상황에서는 훌륭한 왕이 나와도 소용이 없습니다. 시스템이 먼저입니다.

현재를 살아가는 대한민국에서도 이 논리는 고스라히 적용됩니다. 매번 우리는 훌륭한 지도자를 뽑을 기회는 주어지지만 그 책임이 국민에게도 있습니다.

지금도 괜찮은 법과 정책이 시행됐다 바뀌거나 사라지고 있습니다. 당시 잠깐 잘해봤자 아무런 소용이 없는 이유입니다. 물론 모든 것이 적용되지는 않겠지만, 이외로 중요한 정책이 사라지기도 하고, 말도 안되는 법이 갑자기 생기기도 합니다. (예: 외국인 지문 채취 중단)

대한민국은 무한한 발전을 할 가능성이 현재 있습니다. 그렇기 때문에 역사를 뒤돌아보고 현재에 접목하여 어떻게 더 시스템을 좋게 만들건지를 고민하는 것이 필요합니다.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