언어학개론 요약

728x90

1. 언어학개론 
언어 구사 = 언어 능력 (암묵적 지식)+ 언어 수행 (실제 사용) = (음운과 음운 체계 + 어휘 지식과 새로운 어휘의 의미 추측 + 통사 규칙)에 대한 지식과 활용

가. 언어의 특징
● 기호성(모든 언어는 소리=기표=시니피앙와 의미=기의=시니피에로 구성), 자의성(형식과 의미 관계를 임의로 정함), 사회성(사회적 약속), 체계성=법칙성 (소쉬르: 구조주의 & 과학적 방법론), 역사성, 창조성 (촘스키 : 인간은 언어의 기저지식을 바탕으로 무한한 창조 가능) 분절성(물리적으로 연속된 실체를 분절하여 표현)
● 한자 = 표의문자,단어문자.  일본어 가나 = 표음문자,음절문자.  한글 = 표음문자,음소문자.  표음문자는 개념을 표시할 때 문자를 많이 사용해서 어휘를 만들기에 비경제적

나. 언어의 기능 (Haliday의 분류)
언어가 일어나는 모든 상황은 장(field), 의도(tenor), 양식(mode) 등 세 가지 범주로 구조화하여 기술할 수 있다.
언어를 사용하여 사실과 지식을 전달하고(표상적representative 기능), 감정을 표현하며(개인적/표현적 personal 기능), 지식을 습득하거나(발견적 기능), 상상의 세계를 창조한다(상상적 기능). 어떤 일을 진행시키거나(도구적 기능) 통제하기 위해 쓰일 뿐 아니라(규정적/조정적 regulatory 기능) 사회적 관계를 유지시키는 데도 필요하다(상호작용적 기능)

다. 언어의 분류
1) 형태적 분류 (완벽한 분류가 되지 않음)
● 고립어 – 어형 변화, 접사 등이 없고 어순에 의해 문법적 기능. 중국어/타이어/베트남어
● 굴절어 – 어형과 어미변화. 인도유럽어족
● 교착어 – 단어나 어간에 접사로 문법적 기능. 한국어/터키어/일본어/핀란드어/헝가리어
● 포합어 – 동사가 인칭이나 목적을 결합해서 문장으로 인식. 에스키모어/인디안어

2) 계통적 분류
인도유럽어족 / 함-셈어족 / 우랄어족(교착성, 모음조화) / 알타이 제어(몽골,만주,퉁구스 – 모음조화, 교착성, SOV, 어두와 절대어말에 두 개 이상의 자음X, 후치사, 관계대명사X) / 우랄알타이어족이라는 분류는 하지 않음 / 중국티베트어족  등등

3) 통사적 어순에 따른 분류 : 언어 유형론(typology 세계의 여러 언어를 조사해 유형분류하고 언어의 보편적 성격을 탐구). 언어를 공시적 관점에서 통사적 유형으로 분류
● VO형 = 영어, 중국어, 타이어 등
● OV형 = 한국어, 터키어, 일본어, 몽골어, 미얀마어 등

라. 언어학의 구분
● 일반언어학 (사회언어학, 심리언어학, 언어학 등 모든 언어를 대상으로 보편적이고 일반적인 특성 연구)과 개별언어학 (국어학, 영어학 등)
● 순수언어학 (음운론, 언어계통론 등)과 응용언어학 (인류언어학 등 다른 학문과 연계)
● 공시언어학(시대 한정)과 통시언어학(역사성 연구) - 소쉬르(스위스. 1857-1913)의 구조주의와 과학적 방법론 (언어는 사회현상이므로 횡적단면이나 종적변화를 연구할 수 있다)
● 비교언어학 (친족관계 증명-역사적,통시적 변화 연구. 공통의 기원/우연한 일치/언어 간 차용 등을 보지만 공통 유형을 보는 것은 아니다)과 대조언어학 (다른 계통언어의 차이점 연구로 어학교육에 기여)
● 언어학의 하위 분야 : 음성.음운론, 형태론, 통사론, 의미론, 화용론

★랑그와 파롤 (소쉬르) :언어학의 연구대상은 랑그이다. 파롤은 개인적인 언어이며 상황에 따라  달라지는 것이기 때문이다. 따라서 고정적이고 본질적인 랑그만이 언어학의 연구 대상이 된다.
랑그 : 머리 속 언어지식. 특정사회와 특정시대에 존재. 체계적, 구조적, 잠재적, 사회적 언어
파롤 :  다양한 상황에서 일어날 수 있는 개인적이고 실제적인 발화. 개별화된 의미 보유

마. 언어의 속성
1) 새로운 단어를 만드는 방법
기본방안 – 합성, 파생, 축약 (절삭(약어로), 어두 줄임(예:UN)), 혼성/혼합 (예: smog, brunch), 민간어원 (예:펜트하우스 – 대중들이 본 뜻과 다르게 새 의미 부여)
발전방안 - 환유 (비유. 예:넥타이부대 = 사무직원), 유추 (공부방, PC방 등에서 머리방 단어를 만듦), 역형성 (back-formation : 어떤 단어가 파생구조를 가진 것으로 생각해서 존재하지 않던 어간을 만드는 식으로, 어떤 언어 요소를 그 어원적인 구조와는 다르게 분석하는 것), 재분석(hamburg-er를 ham-burger로 오인분석해 cheese-burger를 만듦)

2) 단어 의미 변화의 원인
가) 언어적 원인 : 전염 (특정의 단어와 자주 사용되어 의미가 전이됨 – 전혀, 별로, 주책), 생략 (나란히 사용되는 단어 중 한 단어 생략 – 코에서 콧물이 흐른다를 코가 흐른다), 민간어원
나) 역사적 원인 : 지시내용이 바뀜 (기차, 바가지, 역), 지식의 변화, 태도의 변화 (식모>가사도우미)
다) 사회적 원인 : 일반화 경향 (박사, 사령탑, 여왕), 특수화 경향 (큰손, 말씀)
라) 심리적 원인 :바가지 (철모), 완곡어 사용

3) text의 속성
적절한 접속어나 연결어미 등 형식적 구조(지시어, 접속부사, 의미관계 부사어, 동일 어구 반복)를 갖춰서 표면적인 연결관계 즉 결속성 (응결성)
의미적으로 통일된 주제가 바른 순서로 배열된 응집성,
생산자의 의도를 달성하기 위한 의도성
수용자에게 유용, 적합해야 하는 수용성, 용인성, 정보성, 상황성
다른 text와 한 연속체로써 서로 영향을 주고받게 되는 상호텍스트성

4) 말뭉치 (corpus)
● 분류 : 가공여부에 따라 원시 vs 가공, 갱신 여부에 따라 샘플 vs 모니터, 구축목적에 따라 일반(범용) vs 특수, 반영된 언어의 시대에 따라 공시 vs 통시
● 분석 : 빈도, 화자 언어의 특성, 제2언어 습득단계 관찰, 학습자의 오류 수집, 언어학적 가설 검증
● 용도 : 사전 편찬, 기계 번역 (동일 내용의 두 언어를 병치시킨 병렬코퍼스 이용할 때 큰 도움), 언어 현상의 본질 탐구 (코퍼스의 모집단 구성이나 표준화 방법 등을 고려한 균형 코퍼스 이용할지)

5) 언어 변화의 유형
● 동화 : 소리가 서로 닮게 바뀌는 것
● 유추 : 화자의 마음 속에 서로 관계가 깊은 일군의 언어 형식을 하나로 통일하려는 움직임
● 차용 : 한 언어가 다른 언어로부터 단어를 빌려 오는 것
● 합류 : 둘 이상의 규칙을 한데 합하여 단순화시키는 경향

6) 발화 행위의 적정 조건   [→ 한국어학 6.화용론  나.화행론 참조]

댓글()